맨위로가기

무주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주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이다. 1948년 신현돈이 당선되었으며, 1949년 재보궐선거에서 김교중이 당선되었다. 이후 김상현, 김진원, 신현돈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1963년 진안군, 장수군과 통합되어 진안군·장수군·무주군 선거구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주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주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주군의회는 가선거구와 나선거구에서 각 3명의 군의원을 선출하고 비례대표로 문은영(더불어민주당)이 당선되어, 더불어민주당이 5석, 무소속이 2석을 차지했다.
  • 무주군의 정치 - 진안군·무주군·장수군 (1973년 선거구)
    진안군·무주군·장수군 선거구는 1973년 신설되어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소선거구제 도입으로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선거구로 분리되었으며, 총 네 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무주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무주군
의회국회
큰 지도전라북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진안군·장수군·무주군
의원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무주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안군, 장수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진안군·장수군·무주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wikitext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신현돈 후보가 당선되었다.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신현돈 의원의 사임으로 대동청년단 김교중 후보가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김상현 후보가 각각 무소속, 자유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김진원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신현돈 후보가 당선되었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신현돈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현돈대한독립촉성국민회15,69165.62%
김용학한국민주당5,63623.57%
김종남한국민주당2,58210.79%
합계23,909


4. 2.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신현돈 의원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진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대동청년단 김교중 후보가 당선되었다.

4. 3.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김상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상현무소속8,83937.51
신현돈대한독립촉성국민회8,01834.02
김교중무소속4,40118.67
최병택대한독립촉성국민회1,3755.83
박상식무소속9293.94
합계23,562100


4. 4.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김상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상현자유당12,26653.15%
김종대대한독립촉성국민회8,42636.51%
이홍의무소속2,38610.33%
합계23,078


4. 5.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김진원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김진원자유당16,232100.00%당선
신현돈민주당195500%


4. 6.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는 1960년에 실시되었다. 민주당 신현돈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현돈민주당12,59646.84%
김진원자유당7,04626.20%
김용재무소속3,67013.64%
김종대무소속3,57913.30%
합계26,891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